coding life/python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이썬 자료구조 - DFS와 BFS 자료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방법은 2가지가 있다. DFS(깊이 우선 탐색)와 BFS(넓이 우선 탐색)이다. 이런 그래프가 있을 때, 우리는 모든 알파벳을 탐색해보려고 한다. DFS는 시작 정점에서 한 방향으로 깊이 탐색해 간다. 더 이상 갈 곳이 없게 되면 가장 마지막에 만난 갈림길로 돌아와서 다른 방향으로 탐색을 계속 반복한다. 이것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되는 것이다. A에서 탐색을 시작하여 B로 간다. 여기서 더 깊게 들어갈 수 있는 E, F가 존재하므로 E로 들어간다. E에서는 더 깊게 내려갈 곳이 없으므로 마지막 갈림길인 B로 되돌아온다. 그리고 다시 F를 탐색하고 깊게 내려갈 곳이 없으니 B로 다시 돌아온다. B에서 더 내려갈 곳이 없으므로 마지막 갈림길은 A로 바뀌고, 다시 A로.. 파이썬-객체란? 파이썬은 객체(Object)지향 프로그래밍의 대표중 하나이다. 파이썬 내의 모든 것은 객체의 속성을 갖는 것이다.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(Object-Oriented Programming, OOP)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패러타임의 하나이며,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 개의 독립된 단위, 즉 "객체"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. 객체에는 "타입, 속성, 조작법"의 특징이 있다. 어떤 연산자(operator)와 조작(method)이 가능한지, 어떤 상태(데이터)를 가지는지, 어떤 행위(함수)를 할 수 있는지의 특징이다. 모든 객체는 특정 타입의 인스터스이며, 속성과 메서드를 갖게 된다. 속성(Attribute)는 객체의 상태나 데이터를 뜻하며.. 이전 1 다음